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미디어아티스트 박형준
- vscode
- 안유리
- artntech
- css diner
- html모드 기본모드 전환 오류
- 정명훈 #도쿄필하모닉 #조성진
- 스틱스 심포니
- 2024 한화 교향악축제
- MDN Web Docs
- Ars longa vita brevis
- 슈만
- 장 필립 라모
- 마크다운 html 차이
- 윈도우 폴더 구조 자동화
- 글자관련태그
- 피아노 협주곡
- 한국문화예술위원회
- 티스토리 초보
- vscode 단축키
- 자바의 정석1
- 티스토리 글쓰기 모드
- e.printStackTrace()
- 비킹구르 올라프손
- 코파일럿
- Auto Rename Tag
- 자동화
- 미디어아트
- 전자음악
- HTML의 구조
- Today
- Total
Record
executeQuery() 와 executeUpdate() 메서드 본문
executeQuery()는 데이터를 조회할 때 사용되고, executeUpdate()는 데이터를 변경할 때 사용
executeQuery() 및 executeUpdate() 메서드는 JDBC에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할 때 사용됩니다.
executeQuery() 메서드는 JDBC에서 데이터베이스로 SELECT 쿼리를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. 이 메서드는 ResultSet 객체를 반환하며, 이 객체는 쿼리 결과 집합을 나타냅니다. executeQuery()를 호출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된 결과를 가져와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.
executeUpdate() 메서드는 JDBC에서 데이터베이스로 INSERT, UPDATE, DELETE 등의 데이터 변경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. 이 메서드는 정수 값을 반환하며, 반환된 값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변경된 행의 수를 나타냅다.
executeUpdate()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각각의 사용 사례:
1. **executeQuery()**:
- 이 메서드는 SELECT 문을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.
- executeQuery()는 ResultSet 객체를 반환합니다. ResultSet은 쿼리에 대한 결과 집합을 나타냅니다.
- SELECT 문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 executeQuery()를 사용합니다.
예:
```java
String sql = "SELECT * FROM students";
ResultSet rs = stmt.executeQuery(sql);
while (rs.next()) {
// 결과 집합 처리
}
```
2. **executeUpdate()**:
- 이 메서드는 INSERT, UPDATE, DELETE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작업에 사용됩니다.
- executeUpdate()는 변경된 행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값을 반환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에 새로운 레코드를 삽입하거나 기존 레코드를 수정 또는 삭제하기 위해 executeUpdate()를 사용합니다.
예:
```java
String sql = "INSERT INTO students (name, student_number, grade) VALUES ('John Doe', '12345', 85.5)";
int rowsAffected = stmt.executeUpdate(sql);
System.out.println("Rows affected: " + rowsAffected);
```
'오라클 데이터베이스 > 수업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AO (Data Access Object) 레이어 (1) | 2024.04.03 |
---|---|
rollback과 commit (1) | 2024.04.03 |
SELCET문 (0) | 2024.03.20 |